변액연금보험 - 제 7회 경험생명표 개정이 우리의 노후에 미치는 영향
"변액연금보험과 관련하여 제 7 회 경험 생명표 개정이 우리의 노후에 미치는 영향"
올 7월 부터 (2012.07)부터 평균 수명 연장으로 제 7 회 경험생명표 가 적용됩니다.
건강보험료, 실손보험료 등은 오르지만, 연금은 적게 받게 되므로 생명표가 변경되기 전에
연금 상품을 준비하시는 것이 현명합니다.
제 7회 경험생명표와 참조위험율의 통계가 적용되어
연금보험과 변액연금상품의 보험료는 인상됩니다.
경험생명표 는 ???
성별과 연령, 사망율을 토대로 한국인의 평균 수명을 반영한 통계수치입니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면 연령별 사망율을 산출하는 생명표의 최종 연령이 연장되고,
종신연금상품의 경우 연금수령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처음 만들어졌던 1988년에 발표한 제 1회 경험생명표 의 최대수명은 남자 100세, 여자 109세 였습니다.
2009년에 개정된 제 6회 경험생명표 의 최대수명은 남자 104세, 여자 110세였습니다.
최근 경험생명표는 3년마다 바뀌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의료기술과 여러 사회 환경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고,
이에 보험사는 연금지급액을 종전보다 늘어난 생명기간 만큼 지급하는 부담을 안게 된 것 입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보험료를 인상하거나 지급할 연금액을 줄이는 방법 으로 부담을 줄여가게 되는 것 입니다.
때문에 연금상품은 새로운 경험생명표가 적용되기 전 에 준비하는 것 이 가입자의 입장 에서는
같은 목적자금 을 마련하고 보다 많은 연금을 수령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유리한 것입니다.
과거 연금 수령액의 변화 추이를 보면
적게는 5.4%, 많게는 13.3%까지 연금수령액이 줄어들엇습니다.
실제 가장 최근 개정된 2009년 의 제 6회 경험생명표 개정 시에는 약 6.6%~9%정도 연금수령액이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실제 6회 개정시 한 생명보험사의 종신연금형 연금상품은 30세 남자의 경우,
20년 연금누계액이 6억1,620만원에서 5억7,583만원으로 약 4천만원 가량이 감소하기도 했습니다.
연간 200만원, 월 16.7만원의 연금을 적게 받게 되는 것입니다.
제7회 경험생명표 는 평균수명이 남자 81.3세 여자 86.6세로
최대수명은 남자 110세, 여자 112세로 최대 3년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보험업계는 연금보험을 5~10% 정도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험생명표 변경에 따라 사망율 감소로 인해 사망보장과 관련된 종신보험 등은 가입을 늦추는 것이 좋지만,
연금상품과 의료실비, 건강보험 등은
평균수명연장 과 의료비 증가, 또한 암발생율 상승, 자연환경 변화(방사선유출 등) 을
모두들 예견하고 있는 이 때,
가입을 서두르지 않는 것은 게으름으로 재산을 낭비하는 결과 를 낳습니다.
지난해 8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43%가 "다가올 [100세시대]를 축복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라고 합니다.
평균수명은 점점 길어져
1970년 61.9세 였던 평균수명이
2009년 80세를 넘어섰으며,
현재 40대 중 절반은 적어도 98세 까지 는 생존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길어진 노후로 인해 은퇴 이 후의 삶 또한 수십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0세 에 은퇴한 다고 가정하면 은퇴생활은 40년 정도가 남아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꼭 필요합니다.
자칫 노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장수는 축복이 아닌 고통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오래 사는 삶이 아닌, 당당하게 오래 행복하게 사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지금 부터 만반의 준비를 해아 합니다.
현명한 은퇴설계를 위해서는 4가지 투자원칙 을 지켜야 합니다.
1. '오래 사는 것' 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래 생존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만큼 평생동안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품으로 준비하여야 합니다.
2. 장기투자로 복리효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10%의 수익율을 가정했을 때
복리의 경우 원금의 2배 되는 기간은 7.2년 이고
단리를 적용 했을 때 는 10년 걸려서
복리가 단리 보다 2.8년 이나 기간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3. 꾸준히 일정금액을 투자하는 "적립식 투자"를 해야 합니다.
적립식 투자 의 경우 매월 일정한 금액을 납입함으로 인해서 주가가 하락할 때 평균매입단가를 낮출수 있고
차 후 주가가 반등할 경우에는 보다 높은 수익율을 얻는 "The average cost(평균비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합니다.
지금처럼 변동서이 심화된 투자환경속에서 주식이나 채권 등 하나에만 투자하는 것은 위험합ㄴ다.
여기에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면 더욱 좋겠죠~
일반 금융상품과 달리 저축성 보험 상품은 10년이상 유지시 보험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한 점을 고려할 때 최적의 금융상품으로는 "변액연금상품"을 꼽을 수 있습니다.
변액연금상품은 장기투자 하면 복리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보험료의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실적이 아무리 악화되더라도 연금개시시점에는 납입한 보험료 원금을 보장해 주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에서도 노후 준비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종신연금형》을 선택할 경우, 평생동안 연금 을 수령할 수 있어 "오래사는 위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 참고 글
노후자금 확보하여 해마다 피는 진달래를 편안한 마음으로 감상하기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 (2012년기준) (0) | 2012.08.16 |
---|---|
복리로 목돈굴리는 일시납 거치식 즉시연금보험 내년부터 비과세혜택 제한적 (3) | 2012.08.10 |
노후대책 노후대비 노후연금 종신연금 왜 해야 하는가? (5) | 2012.08.08 |
보험과 연금은 인생이라는 바다를 건너는 노아의 방주 (4) | 2012.06.27 |
[금리형 연금 과 변액 연금 비교하기] 19세 금 리형 연금 과 변액 연금 얼마나 받을까? (3) | 2012.06.22 |
댓글